주요 지표
DOW 34417.0 [0.30%]
NASDAQ 14501.9 [0.47%]
S&P 500 4363.55 [0.41%]
시장 ISSUE
1. Ever Grande Risk 잔존 -> 조용함
2. 미국 부채 상한 및 Default 우려 -> 연말로 지연
3. 인플레이션 우려 -> 러시아發 유럽 천연가스 공급 호재
4. Tapering
5. 금리 인상
시장 평가
장후반부에 극반전 상승, 변동성이 컸던 하루 이걸 말아 올려?
간간이 붉은 표시가 보이지만 대부분의 Sector에서 상승
장후반부 상승 원동력
1. 에너지 원자제 부분 의 하락
러시아發 천연가스 공급 확대 소식에 천연 가스 가격 하락
러시아 " 천연가스 유럽 공급 확대" 천연가스 선물 가격 하락
위와 같은 소식에 에너지 섹터의 주가는 하락하였고,
시장의 인플레에 대한 우려는 살짝 줄어들었다.
그러나, 천연가스 이외에도, 석탄 및 원자재들로 인한 인플레는 계속 남아 있으며,
인플레의 주요 원인으로 뽑히는 운송 지연으로 인한 일시적 인플레를 걷었을때
이것이 얼마나 오래 지속적으로 가격 상승을 주도할지는 추위를 지켜봐야 한다.
미국 공화당 한시적 부채한도 유예안을 제안
공화당도 디폴트라는 전대 미문의 사건 우려에 대해 부담이 컸던 탓인지,
열말까지 한시적 부채한도 유예안을 제안하였다.
막상 디폴트가 된다면 몇일 지속은 안되겠지만, 이것이 시장에 미칠 파장과
상징성은 감당이 버겁다는 말들이 있다.
만약, 위와 같은 유예안이 받아들여질 경우
미국 부채 상한 및 예산안 타결의 경우 연말까지 미뤄지는 것일 뿐
우려가 해소되는 부분은 아니다.
시장의 우려가 종식되지 않았을 뿐더러, 어떤 곳에서 어떤 악재로 흔들릴지 모르는
변동성이 큰 장인것 같다. 10월은 변동성이 큰 장이라던데.... 벗어나질 않네...
기준과 원칙에 따라 지수추이에 대응하라고 조언을 하던데... 뭔말이야...
현금 들고 추이를 보면서 분할 매수하는 것이 답인가?....
상기 글은 절대 매수 추천 및 투자에 대한 권유 글이 아님을 이렇게 밝힙니다.
투자는 개인의 가치관 및 의지에 따라 결정하는 것임으로 손해 발생의 책임은 자기 자신에게 있습니다.
또한 상기 글은 생각 정리 및 의견 공유를 위한 글임으로 정보가 틀릴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경제 지표 > 시황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마감 시황 [2021-10-05] (0) | 2021.10.06 |
---|---|
미국 주식 마감 시황 [2021-10-04] (0) | 2021.10.05 |